artist_View

sample

PARK KYUNG JIN 박경진

ARTIST NOTE /

It captures the artist's existence (survival) that lies between the life and work connected to the act of drawing.

The work contains differences that occurred in the set and the studio due to repeated intervention by the artist, starting with an unknown small photo of the original handed over by the art team. Screen composition is... While you're working

Depending on the gaze and movement of the photograph taken by the artist himself, he/she reconstructs a new space on the canvas by cutting, stacking, and connecting to various and different points, which are constructed by borrowing the variability of the set

It's done. The objects are the quick brush movement, the thickness of the overlapping and thick paint, the realistic color of the object, and the constructed form are cut, overlaid, or lumped to express it again

exposes abstraction.

I am interested in breaking down and disrupting the distinction, which is socially defined or implicitly agreed boundaries. He intentionally floats around the boundary as a stranger. a set

Sometimes I try to see it from the perspective of a daily worker in an exhibition hall and sometimes it looks like that.

In the money-making business scene, my role is to direct new things to look old and old, and sometimes destroy them because they are old and old and difficult to maintain their form.

The scene of the mess, destruction, and weariness contains grotesque and dramatic circumstances. The reproductions that wear out the new ones stimulate me and are natural in the field

We have an aesthetic experience while observing ourselves making an old landscape more effectively. Before it was screened in a video, before the landscape was covered with narrative and directing, we were in that style

He becomes the protagonist of the narrative in the eye. And direct the story to the painting plane.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I focused on Park Kyung-jin's changing role in both the studio and the set. Obviously,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spaces, and you also chang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and conflict

He asked questions. As the work progress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t were expanded in individual questions, and rather than distinguishing the work in the two spa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vered were drawn

Intersection has been found through collision and grafting by reflecting it in business.

There are Park Kyung-jin who plays different roles in the two spaces, but it was an opportunity to find out that the real Park Kyung-jin was in place. In addition, Park Kyung-jin's daily life was divided into living and working

be transformed into a space into.

It looks like it's.

The scene of making money, the scene of the exhibition hall, and the scene of my life are overlapping. And the thoughts that were distinguished in the unconscious are fading. At that time, Park Kyungjin still had a lot of time and space

It acts as Park Kyung-jin at that time.

In contrast to the set that wants faithful reproduction to look real, in painting work that I want the difference to be highlighted by my intervention, I avoid the description of the object and expand the formative experiment and expansion of the painting

I became more focused on sex. The more conversational and conversational you get into it, the more you get out of reality, the more you feel about the image, the more you feel about the experience, the more you stand out on the surface of the canvas

fly.

The spaces on the canvas look almost abstract. The parts that need to be covered up are exposed, and the scenery that needs to be wrapped in the movie's mise-en-scene loses its temporal and spatial probability and changes

acquire a castle.

Even the act of soiling is converted into color and sculpture to play the role of mise-en-scène. We're working in moldy wallpaper, torn and yellow curtains, and painted work clothes

The appearance of is also converted to color.


작가 노트 /

그리기라는 행위가 연결된 생업과 작업사이에 놓여 있는 작가의 실존(생존)의 모습을 담아낸다.

작품에는 미술팀이 건네준 원본을 알 수 없는 작은 사진에서 시작하여 작가의 반복적인 개입으로 세트장과 작업실에서 발생한 차이들이 담겨있다. 화면구성은 일 하는 동안

작가 본인이 찍은 사진의 시선과 동선에 따르고, 세트의 가변성을 차용하여 구성된, 다양하고 어긋난 시점으로 자르고 포개고 연결하여 캔버스 위에 새로운 공간으로 재구축

되어 있다. 대상들은 빠른 붓의 움직임과 중첩되고 두터운 물감의 두께, 대상의 현실적인 색감, 구축된 형태를 다시 잘르고 덧칠하거나 뭉게 어서 표현하여 세트장이 갖고 있

는 추상성을 드러낸다.

나는 사회적으로 규정되거나 암묵적으로 동의된 경계라는 것, 그 구분을 허물고 흐트러뜨리는 것에 관심이 있다. 의도적으로 경계 언저리에서 이방인이 되어 떠돈다. 세트장

에서는 작가로, 전시장에서는 일용직노동자의 시선으로 보려 할때가 있고 그렇게 보여질때도 있다.

돈을 버는 생업 현장에서 내 역할은 새 것을 낡고 오래되어 보이도록 연출하고 때로는 낡고 낡아서 형태를 유지하기 힘들어 파괴하기도 한다.

어지럽히고 파괴되고 낡아진 현장의 모습은 그로테스크하고 극적인 상황을 과장되게 품고 있다. 새것을 낡게 만드는 그 재현행위들이 나를 자극하고, 그 현장에서 자연스럽

고 효과적이게 낡은 풍경으로 만들고 있는 우리들의 모습을 관찰하며 미적 경험을 하게된다. 영상으로 상영되기 이전, 풍경에 서사와 연출이 입혀지기 이전, 우리들이 그 풍

경안에서 서사의 주인공이 된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회화 평면에 연출한다.

작업 초기에는 작업실과 세트장 두 공간에서 변화하는 박경진의 역할에 집중을 했었다. 분명 두 공간 사이에는 다름이 존재 하고, 그 다름에 맞추어 본인 또한 변화하며 갈등

하고 물음들을 던졌다. 작업이 진행될수록 개인의 질문에서 확장되어 세트장의 성질들을 발견하게 되었고, 두 공간에서의 작업을 구분 짓기 보다는 발견한 성질들을 회화작

업에 반영하여 충돌, 접목을 통해 교집합을 찾아왔다.

두 공간에서 다른 역할을 하는 박경진도 있지만 실존 하는 박경진이 자리 잡고 있음을 알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와 더불어 생업과 작업으로 구분 짓던 공간이 박경진의 일상

으로의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

겹쳐보인다.

돈을 버는 현장과 전시장의 현장이 그리고 내 삶의 현장이 겹쳐지고 있다. 그리고 무의식 속에서 구분짓던 생각들도 옅어져 간다. 그 때의 박경진이 여러 시공간에서 여전히

그 때의 박경진으로 작용한다.

진짜처럼 보이기 위해 충실한 재현을 바라는 세트장과는 반대로 나의 개입으로 차이가 부각 되길 바라는 회화작업에서는 대상의 묘사를 지양하고 회화의 조형 실험 및 확장

성에 더 집중을 하게 되었다. 회화성과 회화적인 것에 몰두 할수록 실재에서 벗어나, 이미지에 대한 감각 그리고 경험에서 비롯한 감정들이 캔버스 표면 위로 도드라져 나타

난다.

캔버스 위에 연출된 공간들은 모두 거의 추상적으로 보인다. 은폐되어야 할 부분들이 노출되어, 영화의 미장센으로 포장되어야 할 풍경이 시 공간적 개연성을 상실하고 가변

성을 획득한다.

더럽히는 행위조차도 색과 조형으로 전환되어 미장센의 역할을 수행한다. 벽지에 핀 곰팡이, 찢어지고 누렇게 바랜 커텐, 페인트가 묻은 작업복을 입고 일을하고 있는 우리들

의 모습도 색으로 전환된다.




PARK KYUNG JIN 박경진 


Read More

Share

url복사 트위터 페이스북
artist